오늘의 한자(漢字): 고기 잡을 어(漁)
오늘의 한자(漢字): 고기 잡을 어(漁)
漁
고기 잡을 어
漁夫之利 (어부지리)
:「어부(漁夫)의 이익(利益)」이라는 뜻으로, 「둘이 다투는 틈을 타서 엉뚱한 제3자(第三者)가 이익(利益)을 가로챔.」을 이르는 말.
漁 고기 잡을 어
夫 지아비 부
之 갈 지
利 이로울 리(이)
[유래]
전국시대(戰國時代) 진나라(秦--)는 여러 나라를 병탄(竝呑ㆍ倂呑)하여 천하(天下)를 제압(制壓)하려고 했다. 이때 조나라(趙--)와 연나라(燕--) 사이에 마찰(摩擦)이 생겨, 조나라(趙--)는 연나라(燕--)를 침략(侵略)하고자 준비(準備)를 서둘렀다. 그래서 연나라(燕--) 소왕(昭王)은 소대(蘇代)를 조나라(趙--)에 보내어 혜왕(惠王)을 설득(說得)하도록 했다. 조나라(趙--)에 도착(到着)한 소대(蘇代)는 한 가지 예를 들어 혜왕(惠王)을 설득(說得)했다. 「제가 이 나라에 들어올 때, 역수(易水)를 지나다가 우연(偶然)히 냇가를 보니 조개가 입을 벌리고 볕을 쬐고 있었는데, 황새 한 마리가 날아와 조개를 쪼자, 조개는 급히 입을 꽉다물어 버렸습니다. 다급(多急)해진 황새가 「오늘도 내일(來日)도 비가 오지 않으면 목이 말라죽을 것이다.」라고 하자, 조개도 「내가 오늘도 내일(來日)도 놓지 않고 꽉 물고 있으면 너야말로 굶어 죽고 말걸.」 했습니다. 이렇게 한참 다투고 있는데, 지나가던 어부(漁夫ㆍ漁父)가 이를 보고, 힘들이지 않고 둘 다 잡아가고 말았습니다. 왕(王)은 지금 연나라(燕--)를 치려 하십니다만, 연나라(燕--)가 조개라면 조나라(趙--)는 황새입니다. 지금 연나라(燕--)와 조나라(趙--)가 공연(空然)히 싸워 국력(國力)을 소모(消耗)하면, 저 강대(強大)한 진나라(秦--)가 어부(漁夫ㆍ漁父)가 되어 맛있는 국물을 마시게 될 것입니다.」 하고 말했다. 조나라(趙--) 혜문왕(惠王)도 현명(賢明)한 까닭에 소대(蘇代)의 말을 알아듣고 연나라(燕--)를 치려던 계획(計劃ㆍ計畫)을 중단(中斷)했다고 한다.
192.168.1.254 / 2023-10-12 15:10:11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