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168.1.254 / 2023-10-24 17:36:17 작성
182.209.25.198 / 2023-10-24 23:27:23 수정
오후 여섯시 반:
러스트 수업자료를 만들다.
교과서가 영어를 한글로 번역한 책이다. 다음 번역이 매끄럽지 않아서 ChatGPT에게 물었다.
"우리는 제네릭 타입에 제약을 가하여 이 제네릭 타입이 어떠한 타입이든 되기 보다는, 이 제네릭 타입이 특정한 트레잇을 구현하여 이 타입들이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는 동작을 갖고 있도록 타입들로 제한함을 컴파일러가 확신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대충 무슨 말을 하는지 느낌으로 받아들인다.
ChatGPT에게 물으니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이 문장은 제네릭 타입에 제약을 가하는 개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네릭 타입은 어떤 타입이든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지만, 때로는 특정한 기능 또는 특징을 가져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 문장은 이러한 제약을 통해 컴파일러가 제네릭 타입이 필요로 하는 특정한 트레잇(인터페이스)을 구현하는 타입으로 제한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이 제네릭 타입은 어떤 타입이든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트레잇을 구현한 타입들만 허용되도록 제약을 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컴파일러가 이 제네릭 타입이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로써 코드에서 이 타입을 사용할 때 기대하는 동작을 보장받을 수 있고, 런타임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수업자료를 만들며 내용을 공부하고, 실습한 기반으로 읽어보니 ChatGPT 대답이 매우 훌륭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