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窮無盡 (무궁무진)
: 끝이 없고 다함이 없음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無 없을 무
窮 다할 궁
盡 다할 진
[Transitive verb]
1. <의무·약속·직무 등을> 다하다, 이행하다, 수행하다; 끝내다, 완료하다; <명령·조건·계획·약속 등을> 실행하다, 완수하다, 준수하다, 지키다
fulfill one's duties[obligations]
임무를 수행하다[의무를 이행하다]
2. <소망·야심 등을> 달성하다;[보통 수동형으로] <기원·예언을> 성취[실현]시키다; <필요·요건·부족분 등을> 채우다, 만족시키다
fulfill a long-felt need
오랫동안 가지고 싶어한 소망을 달성하다
3. <기한을> 종료하다, 마치다
4. [~ oneself로] 자신의 소질을 충분히 발휘하다, 자기를 실현하다
fulfill oneself in charitable work
자선 사업에서 자신의 힘을 충분히 발휘하다
오후 1시 50분 출근하다 보니 개나리 꽃이 피었다. 내일은 전지가위를 챙겨 개나리꽃을 조금 잘라와야 겠다.
오후 2시 25분 청소를 한 후, 주말에 만든 <단배공 수련 프로그램>이 잘 동작하는지 테스트를 하다. 주기적으로 종이 울리고, 나레이션을 말한다. 종이 울릴 때 1배씩 절을 한다. 이 프로그램에 맞춰 단배공 수련을 해보다. 이 정도면 만족한다. 다만 음원에서 MR과 보컬을 분리할 때, MR 배경음악 자체에 보컬이 깔려있어 나레이션에 섞여 있는 점이 단점이지만, 크게 신경쓰이지는 않았다.
절은 완벽한 요가라는 말이 있다. 단배공은 기천의 절 수련법이다. 보통 한쪽 방향으로만 수련하는데, 좌우대칭을 맞추기 위해 교대로 번갈아 가며 수련하고 있다. 하체, 기립근 운동과 더불어 명상수련을 할 수 있다.
오후 세시 일반부:
어은님 나오다.
수련을 마치기 10분 전 쯤 승민이 나와 함께 뒷꿈치 들어주기, 호보 등을 하다. 승민이 우리 수련원 인사법을 금방 따라하였다.
수련 전 차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다.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을 하다.
단전호흡 및 명상을 하다.
무릎 들어주기를 하다.
원그리기를 수련하다.
육합단공을 수련하다.
뒷꿈치 들어주기를 수련하다.
호보를 수련하다.
오후 다섯시부:
강림, 승민, 승호, 코끼, 짱구 나오다.
개인 면담을 하다.
아이들 스스로 "안전", "질서", "규칙", "이해", "배려" 등의 키워드를 말했다.
면담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수련원 면담
질문
✔ "수련원에서
가장 재미있는 건 뭐야?"
✔
"더 해보고
싶은 운동이나 활동이 있어?"
✔
"혹시
바뀌었으면 하는 점이 있을까?"
➡ 수련원의 만족도와 개선할 부분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
✔ "운동하면서
힘든 점이 있어?"
✔ "요즘
학교나 집에서 고민되는 일이 있으면 말해도 좋아."
✔
"친구들과는
잘 지내고 있어?"
➡ 수련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전반적인 생활을 이해하고 도와줄
부분을 찾기 위한 질문
3. 수련
태도 & 집중력
관련 질문
✔ "수업
중에 가장 집중이 잘 되는 순간은 언제야?"
✔
"운동을
더 잘하고 싶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
✔
"혹시 수업
중에 장난을 치게 되는 이유가 있을까?"
➡ 수련
태도를 개선하고, 집중력
향상을 유도하는 질문
✔ "우리
도장에서 규칙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
"혼자
운동할 때와 여러 명이 함께 운동할 때, 가장
큰 차이점은 뭐라고 생각해?"
✔
"만약
아무도 규칙을 지키지 않는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 단체 수련에서 질서와 배려, 안전이 왜 중요한지 스스로 깨닫도록 유도
✔ "우리가
함께 운동할 때, 한
사람이 혼자 다른 행동을 하면 어떤 영향을 줄까?"
✔
"네(이름)가
열심히 수련하고 있는데, 다른
친구가 계속 장난치면 어떤 기분이 들 것 같아?"
✔
"수업 중에
혼자 행동하면 네(이름)가
배우는 데 어떤 어려움이 생길까?"
➡ 규칙을 지키지 않을 경우 자신과 친구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깨닫도록 함
✔ "수련
중에 우리가 함께 더 잘 집중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 "만약
우리가 단체 수련 규칙을 만든다면, 어떤
규칙이 꼭 있어야 할까?"
✔
"좋은 수련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우리 모두가 지켜야 할 약속
3가지를
정해볼까?"
➡ 규칙이 강요가 아닌, 아이들이 필요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임을 인식하도록 함
✔ "네(이름)가
오늘 수업에서 가장 배우고(하고)
싶은 것은 무엇이야?"
✔
"친구들이
집중하는 모습을 보면 어떤 기분이 들어?"
✔
"다른
친구들이 너를 어떻게 봐줬으면 좋겠어?"
➡ 집중력을 높이고, 자신이 단체 속에서 어떻게 보이고 싶은지 생각해 보게 함
📌 안전
및 집중 지도
➡ "수련
시간에는 다치지 않도록 집중하는 게 중요해.
장난을 치면 친구들도
위험할 수 있으니 서로 배려하면서 수련하면 좋겠어."
➡ "장난을
치고 싶을 때가 있으면 말해 줄 수 있어?
혹시 지루하거나
힘들어서 그런 거라면 관장님이 도와줄 수도 있어!"
오후 여덟시 일반부:
여여님, 윤발님 나오다.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을 하다.
육합단공을 수련하다.
여여님:
좌우보 소내역권을 수련하다.
윤발님:
삼성보 소내역권을 수련하다.